전체 글 (168)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oot 의 에러 처리 (ExceptionHandler 로 모든걸 처리못할 때) 글을 쓰다가 더 좋은 자료를 발견해서 링크를 건다. https://supawer0728.github.io/2019/04/04/spring-error-handling/ (Spring Boot)오류 처리에 대해 서론오류 처리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.오류를 예측하는 것과 예방하는 것, 그리고 오류를 빨리 발견하고 고칠 수 있는 것은 훌륭한 개발자의 필수조건이라고 생 supawer0728.github.io https://blog.advenoh.pe.kr/spring/%EC%8A%A4%ED%94%84%EB%A7%81%EB%B6%80%ED%8A%B8-%EA%B8%B0%EB%B3%B8-%EC%98%A4%EB%A5%98-%ED%8E%98%EC%9D%B4%EC%A7%80-%EB%B3%80%E.. '프로그래머의 뇌' 를 읽고 LTM : 장기기억 STM : 단기기억 작업 기억 공간 : 실제 작업이 일어나는 공간. 지식의 부족 = LTM 문제 정보의 부족 = STM 문제 처리 능력의 부족 = 작업 기억 공간의 문제 위 세 개념이 끊임없이 등장한다. 코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읽으려면 세 요소가 협동적으로 동작해야한다. 가령 우리는 코드를 읽을 때 텍스트만 읽지않는다. 그 텍스트의 문법(LTM) 변수(STM) 등을 조합해서 읽고 이 읽는 작업 자체가 작업 기업 공간에서 이루어진다. 연구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래머는 쓰기보다 읽기를 훨씬 많이 한다. STM의 크기는 2개 ~ 6개 단어밖에 안되기 때문에 소중하게 활용해야한다. 근데 신기한 일이 있다. I Love the Game 이라는 문장을 외우게하면 글자 수는 6개를 훌쩍 뛰어넘지만 대.. Spring 실행 환경변수와, 빌드할 때 어떤 환경의 resources 를 포함시킬지는 다르다. 저 두개는 다른 문제다 예를 들어 Intellij IDE 에서 active profile로 local 을 주면 gradle 로 스프링을 실행시킬 때 -Dspring.active.profile=local 과 같은 시스템 변수가 붙을 것이다. 하지만 만약 build.gradle의 sourceSet에 resources-dev만 포함시키도록 되어있으면 결과적으로 active profile에 따른 환경 분리를 할 수 없게된다. 이전 1 ··· 4 5 6 7 8 9 10 ··· 56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