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(168) 썸네일형 리스트형 [Spring]Spring JPA의 1차 캐시는 얼마나 이득을 줄 수 있을까. Spring JPA는 1차 캐시를 사용한다. 1차 캐시는 EntityManager 단위로 생성되기 때문에 EntityManager와 함께 사라진다. 사용자의 Request마다 EntityManager가 생성되고, 그 요청을 수행하면 소멸되기 때문에 1차 캐시의 Life cycle은 Transaction과 일치한다. 즉 1차 캐시를 사용하면 하나의 Transaction 내에서만 이득을 볼 수 있다. 그 성능이 얼마나 좋은지 간단하게 테스트 해본다. 이런 식의 데이터가 약 500번까지 있다. 이번 실험에서 이 500개의 데이터를 조회함으로써 1차 캐시의 성능을 측정할 것이다 package hellojpa; import javax.persistence.EntityManager; import javax.pers.. 크롬(Chrome)의 각 탭은 프로세스(Thread)다. Chrome의 각 Tab은 Thread일까 Process일까. 정답은 Process다. 왜 그런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자. 실험을 위해 Chrome에서 Tab 세 개를 만들었다. wmic process get Caption, ParentProcessId, ProcessId | find /i "chrome" CMD에 명령했다. 굉장히 많은 chrome Process가 생겼다. 주목해야할 점은 이들의 PPID 와 PID이다. PPID는 부모의 PID를 의미한다. 그림에서 왼쪽에 있는게 각 프로세스의 PPID이고 오른쪽이 PID이다. 제일 위에 있는 프로세스의 PID가 20668이고, 그 밑의 모든 프로세스의 PPID가 20668이므로 제일 위에 있는 프로세스가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이다. 위에 있는 게.. REST API 정리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P_f5dMoHFc 이 강연의 내용을 정리하고 내 생각을 첨언했습니다. REST 서론 WEB은 정보를 하이퍼텍스트로 연결합니다. WEB이 나온 유래를 생각해봐도 정보 공유의 목적이 컸으니까 어쩌면 당연하겠네요. 그 정보를 표현하는 형식은 HTML 식별자는 URI 전송 방법은 HTTP Protocol입니다. 1990 년 ~ 2000년 대, 웹이 폭발적으로 성장하죠.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로이 필딩은 "Web 생태계를 훼손하지 않고 (전송 방법인) HTTP를 향상시킬 방법이 있을까?"를 고민합니다. 그 답이 HTTP Object Model 입니다. 이걸 4년 뒤, 1998년에 REST라는 이름으로 발표합니다. 그리고 2년 뒤에 박사논문으로 발표합니다... 이전 1 ··· 14 15 16 17 18 19 20 ··· 56 다음